google-site-verification: google10c8f17317de71cf.html 4월7일 오늘, 금값 폭락에 관한 뉴스 기사 /국내 증시 “블랙 먼데이”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4월7일 오늘, 금값 폭락에 관한 뉴스 기사 /국내 증시 “블랙 먼데이”

by 올리브골드 2025. 4. 7.
반응형

코로나 이후 증시 최악의 날로 기록된 지난 주 이틀간 시가 6조 6,000억 달러의 시장 가치가 파괴되었습니다.
트럼프 대규모 관세 폭탄으로 시작된 세계 경제의  파동으로 인한 충격으로 금 시장과 주식 시장이 요동치고 있습니다.
오늘 2025년 4월 7일 오전 발표된 금 값 폭락과 블랙먼데이 관련 기사를 요약해 드리겠습니다.
 

4월7일 금값 폭락 뉴스 기사

 
■출처; SBS Biz/ 네이버 <이한나기자>
2025년 4월 7일 오전10;07 

◇금·비트코인도 못 피했다…JP모건의 잔인한 전망

트럼프 관세 폭탄에 금 가격 '비상'하락
금값 큰 폭으로 하락,
실제로 최근 금 현물 가격은 장중 온스당 3015달러선까지 떨어지기도 했는데.
금값 하락은 트럼프발 상호관세 충격으로 증시가 빠지자, 투자자들이 현금 확보를 위해 금을 팔기 시작하면서 나타난 것으로 해석,
일반적으로 차입 투자자가 마진콜 상황, 그러니까 추가 증거금 요구에 직면한 경우, 현금 확보를 위해 안전자산을 매도하게 된다.
스탠다드차타드는 "금의 경우 마진콜에 대응하는 유동자산 성격이 있다"며, "위험 이벤트가 벌어진 이후 금을 매도하는 것은 자산 포트폴리오에서 금이 할 수 있는 역할을 고려할 때 특별한 일은 아니다"라고 분석.
앞으로 보편 관세에 이어 상호관세도 예정대로 시행된다면 한 차례 더 하락 국면에 진입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출처; SBS Biz / 네이버 <김완진 기자>
2025년 4월 7일 오전10;04
모닝벨 '김대호 박사의 오늘의 키워드' -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연구소장·경제학 박사·세한대 특임교수

◇ 마진콜 '금값 폭락' 

트럼프발 관세전쟁 후폭풍이 거센데요. 뉴욕증시가 급락한 가운데 금값마저 큰 폭으로 하락했는데, 마진콜 때문이라고요?
- 뉴욕증시 폭락 속 '사상 최고가' 달리던 금값마저 하락
- 안전자산 선호 심리에도 불구 금값 3% 가까이 급락
- 투자자들 유동성 부족해지자 금 매도로 수익 확보에 나서
- "금 팔아 마진콜 대응"…추가 증거금 요구, 현금 필요
- 美 헤지펀드들, 팬데믹 이후 '최대' 규모 마진콜 직면
- 주가 폭락하자 투자은행들, 헤지펀드에 추가 증거금 요구
- 상호관세에 증시 폭락…헤지펀드들 차입거래 심각한 타격
- 상호관세 이후 이틀간 뉴욕증시 시총 6.6조 달러 증발
- 최악의 일주일 보낸 뉴욕증시…주식·국채금리·유가 줄하락
- 모건스탠리, 헤지펀드 매도세 '역대 최악'…시장 요동
- "금의 경우 마진콜에 대응하는 유동자산 성격이 있다"
- 위험 이벤트 발생 시 금 매도…자산 포트폴리오에서 역할
- 끝 안 보이는 관세충격…뉴욕증시, 9·11 때보다 더 공포
 

4월 7일 금값 폭락 뉴스 기사

 
 
■출처; 한국경제 /네이버 <진영기기자>
2025년 4월 7일 오전10;58 

◇미국發 관세 공포에 '와르르'…국내 증시 '블랙 먼데이' [종합]

선물 지수가 급락한 탓에 장중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됐다.
9시12분 기준 코스피200 선물 지수는 전장 대비 17.1포인트(5.19%) 하락한 312.05를 기록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5456억원, 3034억원을 순매도하며 지수를 끌어내리고 있다. 개인은 8178억원을 순매수하는 중이다.
 
코스닥지수도 전장 대비 28.43포인트(4.14%) 급락한 658.96까지 밀리고 있다. 코스닥도 우하향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코스닥시장에서도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839억원, 160억원을 순매도하는 중이다. 개인은 917억원을 순매수하고 있다.
 
1462원에 개장한 원·달러 환율도  1470원선에 다가서고 있다.
 
김지원 KB증권 연구원은 "미 증시의 추가 급락에 국내 증시도 매물 소화가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
지난 4일(현지시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각각 5.97%, 5.82% 급락했다.
다우 지수도 5.5% 내렸다.
 
 
맺는 말
 
이번 금 가격 급락은 증시폭락에  대한 마진콜의 필요에 의하다는 견해와, 추후 상호 관세의 시행에 따라 하락 국면이 추가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Kitko 뉴스 발표에서 시장 전문가 Avi Gilburt의 견해에 의하면, 중앙은행의 매수를 금 시장 강점의 지표로 볼 경우, 금의 10년간의 강세장이 끝나갈 가능성이 크다라고 합니다. 
한편, Lite Finance의 낙관적 견해로서 2025년에 금 가격이 트로이온스당 $3,357.00까지 상승할 것이란 설도 있습니다.
지금 트럼프로 인한 불확실한 정세와 급변하는 경제 상황 속에서 확실한 것은 아무도 모르지만 섣부른 판단보다는 관망하는 자세를 가지고 전략적인 포트 폴리오를 구성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