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황금 도시 엘도라도/ 전설과 역사

by 올리브스토리 2025. 4. 2.
반응형

황금을 찾아 떠났던 많은 탐험가들의 목숨을 빼앗은 "전설 속의 황금 도시 엘도라도"가 실제로 존재했을까요?

오늘은 신비의 도시 엘도라도의 전설과 실제 탐험가들의 사례와 흔적을 알아보겠습니다.

전설의 황금 도시 엘도라도

1. 엘도라도의 어원

엘도라도(El Dorado)는 스페인어로 "황금으로 뒤덮인 자"라는 뜻입니다.

원래 이 이야기는 남아메리카 원주민의 한 추장이 과타바타 호수에서 즉위할 때 온 몸에 금가루를 덮고 엄청난 양의 황금을 신에게 바치는 의식을 행했다는 전설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를 믿은 스페인의 탐험가들은 호수 깊숙한 곳에 엄청난 보물이 묻혀 있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이후, 이 전설이 퍼지면서 '엘도라도'는 곧 황금이 가득한 신비로운 도시를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엘도라도의 유물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2. 엘도라도 전설

엘도라도 전설은 스페인 정복자들이 남아메리카를 탐험하던 16세기부터 퍼지기 시작했습니다.

이야기 속에서 엘도라도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황금을 보유한 도시로 묘사되었으며, 많은 탐험가들이 이 도시를 찾기 위해 목숨을 걸었습니다.

전설에 따르면, 이 도시는 남아메리카 내륙의 깊은 밀림 속에 위치하고 있으며, 길을 찾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3. 엘도라도의 위치

엘도라도의 정확한 위치는 전설 속에서조차 명확하지 않습니다.

다만,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가이아나, 브라질, 페루 등 남아메리카 여러 지역이 후보지로 거론되었습니다.

특히 콜롬비아의 구아타비타 호수(Laguna de Guatavita)는 엘도라도 전설과 관련이 깊다고 보았습니다.

원주민들이 이곳에서 황금과 보물을 신에게 바치는 의식을 치렀다는 기록이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전설의 황금 도시 엘도라도, 구아타바타호수

4. 엘도라도를 찾기 위한 역사적 탐험 사례

16세기부터 수많은 탐험가들이 엘도라도를 찾기 위해 남아메리카를 탐험했습니다.

 

*곤살로 피사로(1541): 스페인 탐험가 곤살로 피사로는 잉카 제국에서 이미 부를 얻었음에도 아마존 강 유역을 탐험하며 엘도라도를 찾으려 했습니다. 그러나 극한의 환경과 식량 부족으로 실패하였고 결국 원주민에 의해 살해되었습니다..

 

*프란시스코 데 오레야나(1542): ): 피사로의 탐험대에서 분리된 오레야나는 아마존 강을 따라 탐험하며 태평양에서 대서양까지 이르는 경로를 개척했지만, 엘도라도를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독일 벨저 가문 탐험(16세기): 독일의 벨저 가문은 암브로시우스 힝거를 남아메리카로 보내 엘도라도를 찾게 했지만, 그는 원주민에게 살해당했습니다.

 

*게오르크 폰 슈파이어의 부하 필리프 폰 후텐은 과타비타 강 근처에서 황금을 찾아다니다 중상을 입었습니다.

 

*월터 롤리(1595, 1617): 영국 탐험가 롤리는 베네수엘라와 기아나 지역을 탐험하며 엘도라도를 찾으려 했으나 실패했습니다.

그의 탐험은 유럽 전역에 엘도라도 전설을 퍼뜨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퍼시 해리슨 포셋(1925): 20세기 초 영국의 포셋 대령은 '잃어버린 도시 Z'를 찾기 위해 아마존 밀림을 탐험했으나 끝내 실종되었습니다.

그의 여정은 현대에도 미스터리로 남아 있으며, 아마존에 고대 문명이 존재했을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5. 발견된 유물과 역사적 흔적

엘도라도의 실체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살제로 남아메리카에서는 많은 황금 유물이 발견되었습니다.

또한, 잉카 문명과 관련된 금장식, 유물들이 남아 있으며, 이는 남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실제로 금을 신성하게 여겼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엘도라도 유물, 무이스카 황금 뗏목-출저 국립중앙박물관

 

대표적인 엘도라도 유물 

*무이스카 황금 뗏목: 콜롬비아에서 발견된 이 황금 조각은 무이스카 부족의 의식을 재현한 것으로, 엘도라도 전설의 기원을 보여줍니다. 족장이 금가루를 뒤집어쓰고 호수에 황금을 바치는 장면을 묘사합니다.

 

*황금 도마뱀 장식: 콜롬비아 원주민들이 자연과 동화된 삶을 표현한 유물로, 도마뱀 모양의 황금 장식은 생동감 넘치는 디자인으로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신성한 존재를 상징합니다.

엘도라도의 유물,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황금 새 조각상: 새를 신성한 존재로 여긴 원주민들의 의식 세계를 담고 있으며, 정교한 세공으로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표현한 대표적인 유물입니다.

 

엘도라도 유물 보관 장소

콜롬비아 보고타 황금박물관(Museo del Oro)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이 박물관은 약 5만여 점의 황금 유물과 관련된 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엘도라도 전설과 관련된 대표적인 유물인 무이스카 황금 뗏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엘도라도의 유물,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또한, 엘도라도 유물은 세계 여러 박물관에서 순회 전시를 통해 소개되며, 한국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을 비롯한 특별전에서 전시된 바 있습니다.

엘도라도의 유물,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6. 고고학적 의미

엘도라도 전설은 단순한 황금 도시를 넘어, 유럽인들의 신대륙 탐험과 원주민 문명의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이 전설은 스페인 정복자들이 황금에 대한 집착으로 원주민 문명을 파괴하는 결과를 초래함과 동시에, 남아메리카 원주민들의 문화와 전통이 연구되는 계기가 되기도 했습니다.

 

7. 현대적 시각

오늘날 엘도라도는 단순한 황금 도시를 넘어 인간의 탐구심과 도전 정신을 상징하는 개념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많은 영화, , 게임 등이 제작되며 전설은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황금 도시, 엘도라도

 

맺는 말

 엘도라도가 주는 교훈 

엘도라도 전설의 실체는 분명하지 않습니다. 

야망에 가득차서 전설 속의 황금을 찾아 나선 탐험가들은 끝내 허망한 결과를 맞이했으며, 과도한 욕심이 가져오는 위험성을 알려주었습니다.

그리고 엘도라도는 실존하는 황금 도시가 아니라, 이상과 목표를 찾아가는 여정의 상징으로 남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엘도라도 탐험대들을 통하여 위험을 마주치는 긍정적인 열정과 도전 정신은 본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