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미래에 적응하고 살아 남을 수 있기 위해서 창의성은 생존 전략이 될 수 밖에 없다.
오늘은 인간의 특별한 능력인 창의성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인간의 독창성과 혁신이 어떻게 발현되었는지 알아고자 한다.
1. 인간의 생존으로서 창의성이 필수적인 이유
인간에게 있어 환경 변화에의 대응, 생존 경쟁, 사회적 협력 등은 생존의 요소가 될 수 밖에 없다.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
자연은 끊임없이 변하므로 생존을 위해서 대응하고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사냥과 채집에서 농경사회로 전환하는 과정, 산업 혁명, 디지털 혁명 모두 인간의 창의성의 결과이다.
경쟁에서의 우위 확보
창의적인 발명과 아이디어는 개인 또는집단이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게 한다.
기술의 발전, 예술적 표현, 경제적 시스템 변화 등은 모두 창의적 사고의 산물이다.
사회적 협력과 문제해결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서 협력을 통해 더 나은 결과를 만들어 낸다. 창의성은 단순히 개인적인 것이 아니라, 공동체가 유지되기 위한 방편이다.
2.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창의성의 결과
이글먼은 인간의 창의성이 진화의 필수 요소였다고 설명한다.
진화의 관점에서 볼때, 창의성은 단순한 부가적 능력이 아니라 인간이 살아남고 발달하는데 핵심적인 요소였다.
도구 제작과 사용
초기 인류는 단순한 돌도끼에서 점점 정교한 도구를 개발하여 생존력을 높였다.
언어의 발달
언어는 단순한 의사소통의 도구가 아니라, 새로운 개념을 창조하고 공유하는 역할을 했다.
문화와 예술의 발전
동굴벽화, 음익, 신화와 같은 문화적 창작물은 인간의 사고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했다.
3. 창의성의 적용 부문
문제 해결
기존의 해결 방법을 찾고자하여 여러가지의 새로운 해결이 필요할 때
기술 혁신
전자제품, 소프트웨어,나아가서 AI,로봇, 양자기술 등의 새로운 기술의 발전이나 혁신이 필요
예술 창작
음악, 미술, 문학 등에서 기존의 틀을 깨고 독창적인 형태로 발현
비즈니스 모델 개발
시장에 없는 새로운 서비스나 상품 창출을 끊임 없이 발전하고자 할 때
4. 창의성의 절충 과정
밴딩(Bending)
기존의 아이디어나 개념을 비틀어 새로운 방식으로 결합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면 피카소의 입체파 작품처럼 사물을 여러각도에서 표현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브레이킹 (Breaking)
기존 규칙이나 전통을 깨고 새로운 틀을 만드는 과정이다. 예를 들면 고흐의 인상파 작품처럼 전통적인 묘사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방식으로 표현한 작품을 들 수 있다.
블렌딩(Blending)
서로 다른 두가지 아이디어를 결합해 완전히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조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면 전화기와 컴퓨터의 기능을 융합해 스마트폰을 만들어내는 것을 말한다.
마무리
창의성의 역사적인 관점과 진화과정에서 본 창의성의 요소를 살펴보았다.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이 시대에 적응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개인의 창의성을 길러내기 위한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
한 개인으로서 가정에서 인간 성장 환경 부문은 준비되어있는가를 고민해보고 학교에서 얻을 수 있는교육적인 부문에서 선택할 요소는 무엇일까?
국가와 사회적 환경부문 등에서 갖춰어야하는 제도와 환경 인프라와 교육제도에 있어서 핵심적 요소를 연구하고, 개인과 사회가 서로 협력하여 미래에 대비한 문화와 과학 기술을 발전시켜 나아가도록 해야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