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금 요리 먹는다고? 금 음식, 식용 금의 효능과 부작용

by 올리브스토리 2025. 3. 26.
반응형

 반짝이는 금을 먹을 수 있을까?


금은 빛나는 아름다움을 지녔는데 이러한 미적 효과를 넘어서 실제로 금을 섭취하는 것이 건강에 도움이 될까?
이번 글에서는 다양한 금 요리와 식용 금의 효능 및 부작용을 다양한 사례와 함께 분석해보겠다.
 

 

1. 식용 금의 역사

 

금은 오랜 역사 속에서 음식과 함께 소비되어 왔다.
로마 시대에는 금이 불사의 상징으로 여겨졌고,
중세 유럽에서 금박을 입힌 사탕이나 디저트가 귀족들 사이에서 유행했다.
중국과 인도에서도 금가루를 약재로 사용했다.
현대에도 고급 레스토랑에서는 금박을 장식으로 올린 요리를 제공하며, 금이 들어간 술이나 디저트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2. 금이 들어간 음식의 사례

(1) 일본의 금박 아이스크림

일본 가나자와(금沢)는 금박 생산지로 유명한데, 이곳에서 판매하는 금박 아이스크림은 관광객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바닐라 아이스크림 위에 얇은 금박을 올려 고급스러움을 강조한 것이다.

가나자와의 금박 아이스크림, 이미지출처 재팬구루

(2) 두바이의 금 커피와 금 스테이크 

두바이에서는 금가루를 뿌린 커피나 금박을 두른 스테이크를 흔히 볼 수 있다.
특히 유명 셰프 ‘너스렛(Nusret)’의 금 스테이크는 전 세계 유명 인사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었다.

 

두바이 금 커피

(3) 독일의 금맥주 

독일에서는 금가루가 들어간 맥주가 생산되기도 한다.
맥주를 마실 때 반짝이는 금이 움직이며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한다.

 
이렇듯 금을 활용한 음식은 세계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주로 미적 요소와 희소성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지만 과연 금을 섭취하는 것이 우리 건강에 유익할까?
 

맥주 속에서 황홀하게 빛을 발하는 금가루

3. 식용 금의 효능

식용 금(E175)은 유럽식품안전청(EFSA)과 미국 FDA에서 식용 가능하다고 인정한 첨가물이다.
그러나 금 자체는 인체에서 흡수되지 않고 그대로 배출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에서는 금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1) 항산화 효과?

일부 연구에 따르면, 나노골드(nano gold)는 항산화 효과를 가질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산화 스트레스를 줄여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효과는 나노 크기의 금을 활용한 실험에서 주로 관찰된 것이며, 우리가 먹는 금박이 이러한 작용을 할 가능성은 낮다.

(2) 면역력 강화? 

전통적인 중국 의학에서는 금을 면역력을 강화하는 약재로 사용하기도 했다.
하지만 현대 의학에서는 이러한 효과를 명확하게 입증한 연구가 부족하다.

(3) 심리적 만족감

금이 직접적인 건강 효과를 주지는 않더라도, 심리적인 만족감을 높이는 효과는 있다.
고급스러운 음식을 먹는다는 느낌이 기분을 좋게 만들고, 기쁨을 주는 도파민 분비를 촉진할 가능성이 있다. 

금박 샴페인, 이미지출처 취요남블로그

 

4. 식용 금의 부작용과 위험성 

금은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금속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독성이 없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점이 있다.

(1)  나노골드의 안전성 논란

금이 나노 크기로 가공될 경우 체내에서 예상치 못한 작용을 할 수도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나노골드가 세포에 침투하여 신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한다.
금 성분에 있어서는 순도 95% 이상인 금은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다.
식용 금은 대부분 24k 금으로 만들어진다. 24k 금은 순도 99.9%를 의미한다.
하지만 낮은 순도의 금을 섭취할 가능성이 있으니 조심해야한다.
금을 섭취하면 체외로 배출 되지만 순도가 낮은 금 가공 시에 중금속인 크롬, 카드늄, 니켈등이 발견된 바 있어서 중금속의 과다 섭취를 조심해야 하고 안전하게 제작된 식용 금을 섭취하여야 한다.
 

금박 아이스크림

(2)  위장 장애 유발 가능성

금은 소화되지 않고 그대로 배출되지만, 드물게 위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
특히 과도하게 금을 섭취하면 위에 부담을 줄 수도 있다.

 

(3)  알레르기 반응 가능성

금은 거의 모든 사람에게 안전하지만, 일부는 금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일 수 있다.
특히 치과 치료(금 크라운)나 금 장신구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 적이 있다면 식용 금도 주의해야 한다.

5. 결론:

금은 먹을 가치가 있을까?

 
결론적으로, 식용 금은 미적 요소와 상징적인 의미가 강할 뿐, 건강에 직접적인 이점을 주는 크나큰 증거는 부족하고 과다 섭취하면 체내에 축적될 우려가 있으니 순도 높고  안전한 식용 금을 선별해야 한다.
다만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고 심리적 만족감을 주는 효과로 식용 금을 먹을 수는 있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나노골드 관련 연구 외에도 식용 금의 잠재적 효능에 대한 최신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 식용으로서의 금이 우리의 안전한 일상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