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가 다가올수록 금의 빛은 더 강해진다. 지금, 금을 사야 할 때일까?
오늘 (2025년 3월 17일) 국제 금값은 온스당 29,000달러를 기록하여 역사상 최고치에 도달했습니다.
오늘은 경제 위기 시의 급변하는 세계 정세에 대응하는 투자 방법으로서 금 투자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과거 경제공황 시기의 금값 흐름
∎1929년 대공황과 금
당시 미국은 금본위제 하에서 금 1온스를 20.67달러로 고정.
1933년 루즈벨트 대통령, 금본위제 폐지 및 금값 35달러로 평가절상.
금은 안전자산으로 인식되어, 정부가 통제할 정도로 수요 집중.
∎1970~80년대 스태그플레이션 시기
금본위제 완전 폐지(1971년) 후 금값 자유 변동.
금값: 1971년 35달러 → 1980년 850달러 폭등.
원인: 오일쇼크, 인플레이션, 달러 약세.
2. 현재 금값 동향
2020년 팬데믹 이후 금값은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최근 고물가와 지정학적 리스크, 금리 인하 기대감 등으로 인해 금값은 급등하고 있습니다.
∎2000년~2025년의 금값 추이 (온스당, USD 기준)
2000년: 279달러
2010년: 1,410달러
2020년: 2,070달러
2024년 말: 2,600달러
2025년 3월 17일: 2,900달러
금값은 2000년 이후 10배 이상 상승했으며, 최근 1년 새 800달러 이상 상승하는 등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3. 전문가 전망: 금값 추가 상승 가능한가?
∙골드만삭스(Goldman Sachs): “2024년 원자재 가격 상승 전망. 금 수요는 중앙은행 매입과 지정학적 리스크로 증가.”
∙세계은행: “글로벌 저성장 지속, 인플레이션 우려 상존 → 금 수요 장기적 증가 가능성.”
∙시장 예측: 단기 조정 가능성은 있으나, 2025년 말까지 3,100~3,200달러까지 상승 가능성.
∙각국의 중앙은행 들이 금 보유량을 늘임.
∙역사상 고점에 달하는 금 수요치 상승.
∙트럼프의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 고조로 인한 우려는 안전 자산의 금보유 성향.
4. 쉴러 교수의 경고 – 금융위기와 금 투자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로버트 J. 쉴러 교수는 최근 “현재의 자산 시장은 과거 금융위기 전야와 유사한 위험 신호를 보이고 있다”며 금융위기 가능성을 경고했습니다.
∙쉴러 교수의 주요 발언:
“금융시장은 지나치게 낙관적이며, 거품 조짐이 있다. 위기는 갑작스럽게 올 수 있으며, 투자자는 리스크에 대비해야 한다.”
이러한 전망은 투자자들이 안전자산 확보를 고민하는 계기가 되고 있으며, 금은 가장 전통적이며 확실한 가치 저장 수단으로 다시 조명받고 있습니다.
5. 금 투자 적기 분석
경제 상황에 따른 금 투자 적기를 어떻게 판단할까?
∙경제위기/금융불안 상승 시기 ~ ~ 투자 적기 (금 수요 증가)
∙고금리 유지 시기 ~~ 보류 (금리↑ 시 금의 매력 ↓)
∙금리 인하 시기~~ 전환 투자 적기 (금 수요↑)
∙금값 고점 시기 ~~분할 매수, 조정 시 추가 매수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 발발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의 돌발성으로 인한 불안한 경제로 인해 현재 국제 금 값은 가파른 상승을 나타냈습니다.
현재 금값은 고점에 있지만, 쉴러 교수의 금융 위기 경고,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 등을 고려할 때 단기 조정 가능성은 있으나 중장기적으로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는 분석입니다.
6. 금 투자 방법 및 전략
∎투자 방식
∙현물 금: 금괴, 금화 – 실물 자산 보유.
∙한국 금거래소 KRX를 통한 금통장 보유.
∙금 ETF: 거래 용이, 수수료 저렴.
∙은행 금 통장: 소액 투자 가능함.
∙금 관련 주식: 금광 기업 주식 투자.
∎전략 제안
∙분할 매수: 단기 급등 고려, 리스크 분산.
∙포트폴리오 내 금 비중: 전체 자산의 10~20% 내외 권장.
∙장기 보유: 금은 수익보다 가치 보존이 목표.
결론: 지금 금 투자할까?
불확실성 경제의 상황에서 현재의 금값이 고점에 가까워 보일 수 있지만, 경제 위기 가능성과 금리 하락 전망, 달러 약세 등을 고려하면 안정성을 지닌 금의 수요와 가치는 더 높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확실한 사실은 미래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다만, 세계적 경제 전망에 뛰어난 쉴러 교수의 경고는 금 투자에 대한 신호로 해석할 수 있으며, 지금은 분할 매수 및 장기 보유 전략으로 금 투자를 고려해볼 수 있는 시점이란 것은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